아파트관리비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의외로 상당히 많다는 것을 보고 살짝 놀랐습니다.
대부분 아파트 관리비에 대해 궁금증을 가진 분들을 통계해보니 행복주택, 임대아파트, 청년주택 등 아파트를 처음 입주하는 분들이 대다수였습니다.
아파트 관리비의 항목과 관리비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를 무료 조회할 수 있는 아파트아이 앱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아파트 관리비 항목
아파트 관리비는 일반 주택과는 조금 차이가 있는데요 아파트는 다세대주택이라고도 하며 공동관리비(공용관리비)와 개별관리비(개별사용료)로 나뉘게 됩니다.
1. 공동관리비(공용관리비)
아파트 전체 입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부분의 유지∙운영에 드는 비용으로, 전체 세대가 면적이나 동일하게 분담하게 되며, 각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관리비 : 관리사무소 운영, 사무용품, 행정 관리 비용 등
- 청소비 : 단지 내∙외부, 계단, 주차장, 엘리베이터 등 공용공간 청소
- 경비비 : 아파트 경비원 인건비 및 경비시설 유지
- 소독비 : 정기적인 방역∙소독 작업 비용
- 승강비 유지비 : 승강기(엘리베이터) 유지∙보수∙검사 등
-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유지비 : 공용 시설의 디지털 설비(인터폰 등) 유지
- 수선유지비 : 공용 설비, 시설의 보수∙교체, 냉∙난방 시설 청소비 포함
- 위탁관리수수료 : 외부 업체에 관리 시 지급하는 수수료
2. 개별사용료(전용사용료)
각 세대가 실제로 사용한 양만큼 부담하는 비용으로 크게 전기료, 수도료, 가스사용료 등이 있으며, 세부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료 : 세대별 전기사용량
- 수도료 : 세대별 수도사용량
- 가스사용료 : 도시가스, 난방∙급탕 가스 등
- 난방비 : 지역난방∙중앙난방 또는 가구별 난방기 사용량
- 급탕비 : 온수 사용량
- 정화조오물수수료∙생활폐기물수수료 : 쓰레기 및 오뭉 처리 비용
- 보험료 : 세대별로 부담하는 건물 보험 등
- 입주자대표회의∙선거관리위원회 운영비 : 단지 내 입주민 대표나 선거 관련 운영비
3. 기타항목
- 장기수선충당금 : 아파트 단지의 엘리베이터, 배관, 옥상, 지하주차장 등 주요 시설의 대규모 보수∙교체를 위한 적립금입니다. 이는 모든 세대가 동일하게 부담합니다.
- 주차비 : 유료주차 시 해당 세대에 부과
- 커뮤니티 시설 사용료 : 헬스장, 독서실, 게스트룸, 등 사용 시 별도 징수
아파트아이 관리비 무료 조회 방법

아파트아이는 관리비를 조회함에 있어서 전면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앱 설치
- 스마트폰의 Google Play(안드로이드), App Store(아이폰)에서 아파트아이 앱 다운로드 및 설치
2. 회원가입 및 로그인
- 앱 실행 후 회원가입(아이디, 비밀번호, 휴대폰 인증) 절차를 완료합니다.
- 이미 계정이 있다면 바로 로그인합니다.
3. 내 아파트 단지 등록
- 주소검색 또는 단지명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본인이 거주 중인 아파트를 선택 및 등록합니다.
- 동∙호수 등 상세정보를 입력해 내 집을 등록하면 완료
4. 관리비 조회
- 메인화면 또는 “관리비 조회” 메뉴에서 내 아파트 관리비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관리비 고지서 전체금액이 화면에 표시되고, 금액을 클릭하면 전기∙수도∙가스∙장기수선충당금 등 항목별 상세 내역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지난달 및 월별 관리비 조회
- 원하는 월을 선택하여 이전 관리비 내역도 열람할 수 있습니다.
- 고지서 PDF 다운로드 및 출력(연말정산∙계약 등 증빙)도 지원
6. 추가 기능
- 푸시 알람 설정 시 매달 새 고지서 발행 알림이 옴
- 입주민 커뮤니티, 민원, 자동이체 신청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됨
한눈에 보는 절차 요약
단계 | 상세 내용 |
1. 설치 | ‘아파트아이’ 앱 다운로드 및 설치 |
2. 가입 |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 |
3. 등록 | 내 아파트 단지 및 동∙호수 등록 |
4. 조회 | 관리비 조회(전체/항목별/월별) |
5. 활용 | 알림 설정, 고지서 출력, 자동이체 등 부가 기능 |